본문으로 건너뛰기

03.20

진행상황

코틀린의 생소한 키워드 정리

apply, with, let, run, also


출석앱 서버 쪽 코드 구현중(9/20)

api를 다룰 때 고민

request 핸들링 성공시 → 그대로
request 핸들링 실패시 → 리다이렉션 상태코드 응답 & 다른 url에서 처리하게 끔? ⇒ 다양한 실패상황에 대한 처리가 힘든 것 같습니다..
⇒ request 핸들링 실패시 → 클라이언트 오류 상태(4xx) 응답 + 부가정보 & 그에 맞게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하기

orm 사용법 공부

id가 db에서 자동생성될 때, 처음 객체를 db에 저장할 땐 id에 어떤 값을 넣어야 하는가? => null

Service 계층 분리가 필요

: {Domain}Service에 {Domain}Repository를 하나만 주입해서 사용하고 싶은데 여러 다른 도메인 리포 코드들이 주입돼버렸습니다.

=> 계층 철저히 분리하고 Service가 Service 참조해서 사용? ( D1Service에서 D2Service.method() 사용 )?

Service가 Service를 참조하도록 되는 상황이 맞나? 아예 RestController 쪽에서 여러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리? => 동시처리(일관성)


앞으로 계획

  • 출석앱 서버코드 구현계속하기

  • RestController - Service - Repo 계층을 어떻게 다뤄야하는지 공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