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23-07-08
2023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1. 발대식 환영인사
- 편한 복장 → 오픈소스
- 멘토들이 멘티들을 선발하는 방식
- 생소한 방식
- 오픈소스에 적합한 방식을 위한 시도
- 멘토
- ‘좋아서 하는’ 사람들 (자발적)
2.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란?
Open Source Contribution Academy
- 오픈소스 프로젝트
- 멘티
- 멘토
- 컨트리뷰션 (약 13주간)
3. OSSCA 프로젝트 소개
- githru-vscode
4. OSSCA 전체 일정 안내
5. 지원사항 & 의무사항
활동의무 사항
-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팀별 프로젝트 컨트리뷰션 참여
- 주요 프로그램 행상 필수 참여
- 프로젝트팀의 주기적인 온/오프라인 컨트리뷰션 세션 적극 참여
- 멘티 개별 중간보고, 최종보고 및 발표자료 제출
지원사항
- 개별활동공간 : Open Up 및 토즈 모임센터
- 컨트리뷰션 모임 활동비 : 5만원
6. 초청 스피커 아카데미 경험 공유
- 선순환 (멘티 → 멘토)
GlueSQL : 문태훈, 김민식, 최지석, 조형관
- 3년째 참여 중
- 멘티 → 멘토
- 2019년 ~ 개발 진행 중
-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 취미/일… 가져다 쓴 오픈소스에 부족함을 느낌
- 스스로 고쳐가면서 사용함
- 직접 수정해서 PR을 해보는 시도 (+피드백)
필요해서
,없어서
- ‘자발적’ : 동기부여의 의미가 다름. 각자의 참여 동기가 다양해서 시야가 넓어짐. 일의 관점에서 OSSCA를 통해 현재는, 일의 관점보다 그 자체로 보람을 느낄 수 있었음. 과정 자체가 행복할 수도 있음을 깨달음.
- 오픈소스를 사용만 하였지, 기여를 하는 방법을 몰랐음.
-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과 기여를 하고 싶은 마음에 참여.
- 멘티 → 멘토 : 멘티에 대한 입장을 잘 이해할 수 있음.
- 멘티
- 당시 DBA 직무로 일하며 당시 개발자가 아니였음.
- 개발자로의 전향을 위해서 참여함.
- 리드멘티
- 남들에게 가르치면서
멘티에서 멘토로 : 임윤수, 신재성
- 조성수 멘토님과 첫 만남
- openstack을 이용한 첫 프로젝트
- 페이스북 Opestack 한국 커뮤니티 페이지 가입
- 첫 게시글 이후 짧은 시간안에 올린 게시글만 20개 이상
- 첫 온라인 행사 참여 이후 컨트리뷰션 참여
- 멘토의 시작
- 아카데미 멘티의 성장기
- 2021 탈락
- 지역 스프린트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