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6.24(토)
하루 요약
- ~17시 : 집(부스트캠프 - 코딩 테스트)
- 18시 ~ 22시 : 공유 오피스
- 22시 ~ 23시 : 운동
오늘 한 일
- 면접 스터디 준비 - JS 타입 변환
- 휴식(코테를 위한)
- 부스트 캠프 코딩테스트(1h(세팅)+2.5h)
- 코딩테스트 2차 후기 작성 (결과 발표 후 업로드 예정)
- 스피치 연습 - 발성 연습
- 면접 준비 - 클라우드 공부
- 포트폴리오 수정 및 다듬기
- 면접 스터디 준비 - JS 배열
오늘 배운 내용 요약
- 타입 변환에는 명시적 타입 변환과 암묵적 타입 변환이 있다. 명시적 타입 변환은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타입을 변환하는 것이다. 그 예시로 String(), toString(), Number(), Boolean() 등이 있다.
- 암묵적 타입 변환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변환되는 것이다. 그 예시로 산술 연산자 +(단항 연산자만), -, *, /, %, 비교 연산자 <, >, <=, >=, ==, !=, 논리 연산자 &&, ||, ! 등이 있다.
- falsy한 값에는 7가지 false, undefined, null, 0, -0, NaN, ''(빈 문자열)이 있다. 그 외에는 truthy한 값이다.
- JS의 배열은 일반적인 배열과 달리 요소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지 않은 희소 배열이다. 겉보기에는 배열이지만 속을 까보면 value, length 프로퍼티를 가진 객체이다.
- 고차 함수란,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거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말한다. 고차 함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위해 필수적이다.
-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순수 함수를 조합하고 연결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 순수 함수란, 동일한 인수에 대해 항상 동일한 값을 반환하고, 부수 효과가 없는 함수를 말한다.
오늘의 생각
코딩 테스트를 치뤘다. 1차 코딩 테스트를 치루고 나서는 기세가 등등해졌지만, 오늘 2차 코딩 테스트를 치루고 아직 나는 나약하든 것을 또 한 번 느꼈다. 코딩테스트의 분위기와 준비 방법에 대해서 한 번 더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나는 최선을 다했고, 그거면 된거다. 다음 코딩테스트를 위해 한번 더 칼을 갈아보자.
내일, 면접이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내가 준비한 만큼만 보여주고 오자. 이번 기회를 발판삼아 면접의 트라우마(?)를 극복해보자.